핵심 목표 | 토목공학과는 토목 유관 분야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전문 연구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하며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핵심목표는 다음과 같다. |
---|---|
세부 목표 |
1.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차세대 수치모형의 설계능력을 지닌 연구인력 양성 1-1 자연계 여러 현상을 초기경계치 문제로 정식화, 해석할 수 있는 수학적 능력을 배양 1-2 여러 가지 형태의 초기경계치 문제를 수치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 2. 다학제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공학문제의 해결 능력을 지닌 인력 양성 3. 세계적 학술회의에서 연구논문을 전달할 수 있는 외국어 구사능력을 지닌 연구 인력 양성 3-1. 선도적 토목기술 연구인력이 되기 위한 효율적 의사전달 능력을 배양 4. 새로운 세계건설용역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도전정신을 지닌 연구인력 양성 |
연구 분야 | 대형건설, 구조해석, 건설재료, 해안 및 항만, 수자원, 지반공학, 암반, 스마트구조 |
지반공학 | 토질역학을 토대로 흙에 관한 성질이나 기초지반의 공학적 성질 등 흙에 관련된 공학적인 모든 문제를 취급하는 학문으로 흙댐, 도로, 용배수로의 절성토 등 흙을 사용한 구조물이나 구조물의 기초에 관한 설계와 시공, 지반개량, 지반의 재해방지 등에 응용 |
---|---|
구조공학 | 교량, 고층빌딩, 플랜트 등의 토목 구조물의 설계, 시공, 유지관리에 필요한 역학적 지식을 이해하고 실제에 적용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사회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는 학문 |
수공학 | 수공학물은 인류 생존의 필수조건이며 문명의 원천으로 하천의 이해, 물을 저장하는 수단 및 공급하는 수단, 물로 인한 자연재해(가뭄/홍수 및 수질오염 등), 해양자원과 에너지원, 해안항만 등 수환경이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및 결과를 수리현상과 그 해석을 통하여 이해하는 분야로, 수공학분야에서는 유체역학, 수리학, 하천공학, 수문학, 상하수도공학, 해안항만공학, 수공구조물설계 등을 학습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