핵심 목표 | 한국경제가 직면한 복합적인 경제 및 사회 문제들에 대하여 다면적인 분석과 창의·혁신적인 해결방법 제시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선도할 실천적인 인 재 양성이 필요 함에 따라 ‘실천적 문제 해결 역량’, ‘융합·창의 역량’, ‘학문적 기초역 량’과 ‘전문화 역량’을 갖춘 고급 미래 인재 를 양성한다 |
---|---|
세부 목표 |
1. 한국의 다양한 경제문제 해결을 선도할 수 있는 ‘실천적 문제 해결 역량’ 2.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변화를 수용 및 응용하기 위한 ‘융합 창의 역량’ 3. 경쟁력을 갖춘 미래 인재로서 ‘학문적 기초역량’ 및 ‘전문화 역량’의 질적 성장 4. 논문 작성능력의 함양 : 세부전문분야에서의 전문지식습득, 세미나 활성화, 논문 작성법 습득 |
연구 분야 | 화폐금융분야, 국제경제분야, 산업경제분야, 계량경제분야, 수리경제분야, 도시 경제분야, 재정학분야, 노동경제분야, 재무경제학 |
응용경제 |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경제교육과 미래 가치를 탐구하고 이를 연구에 적용 |
---|---|
실질경제 | ‘급변하는 사회에 다양한 충격 분석’, ‘다양한 전공 및 학문의 융합 을 통한 분석’과 ‘선제적인 대안과 대응책을 제시’ 연구로 ‘사회 맞춤형 경제 문제 분석 및 해결 중심 연구를 통한 한국경제의 비전제시 |
글로벌경제 | 해외 학자와의 네트워크 구축, 학위 과정별 국제화 계획 수립, 국제화 프로그 램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육의 국제화 |